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fGSR/btq1YjDGOb1/aeOnPg3NZZ2YwkJbKOMKB0/img.png)
수입이 생기면 필연적으로 납부해야하는 것이 4대보험 + 소득세예요. 이중 오늘은 국민연금에 대해서 조금 알아볼까 합니다. [goldk1]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료나 둘다 납부액의 하한액과 상한액이 있거든요. 이게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데, 2021년의 국민연금 상한액은 얼마인지, 그리고 국민연금 요율은 얼마인지 또 알아보겠습니다. 국민연금 납부액 = 기준보수월액 x 요율 우선 국민연금이 어떻게 계산되는 지 알려드릴게요. 국민연금 납부액은 기준보수월액 x 요율로 계산이 됩니다. 즉, 내가 받는 금액이 아닌, 내가 받는 월급여 혹은 내 평균 월 소득금액이 속하는 구간에 있는 기준금액에 요율을 곱해서 들어갑니다. 요율은 지역가입자 or 임의가입자는 9%, 직장가입자(공무원들 포함)는 4.5%예요. 나머지 4.5%..
카테고리 없음
2021. 4. 6. 11: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