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우리나라 법은 소득이 있으면 그 소득에 이름을 붙여서 세금을 떼어갑니다. 

연금도 마찬가진데요. 연금소득에 대해서도 세금을 내게 되지요.

 

[goldk1]

 

이건 개인연금이건, 국민연금이건 마찬가지인데요. 만약 자신의 연금소득이 1200만원 이내라면 분리과세와 합산과세중에 고민을 하게 됩니다. 이때 알아두면 좋을 게 연금소득공제랍니다.

 

[goldk2]

 

그리고 그보다 먼저 알아둘 것은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건데요. 

국민연금의 경우 2002년 납입분부터 세금을 적용합니다. 그 전에 납부하신 부분은 세금을 떼지 않아요.

심지어 임의가입자의 경우는 소득공제 받은 게 없기 때문에 납부한 보험료 중 소득공제 받은 게 없으면 

과세대상 연금소득에서 제외된답니다. 

이건 국민연금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떼어보면 확실하게 나옵니다.

 

 

연금소득공제는 총 900만원 한도에서 적용됩니다. 여기서 말하는 과세대상 연금은 1년동안 받은 총 연금액이구요.

연간 총 연금액이 350만원 이하이면 전액을, 그 이상 넘어가게 되면 구간별로 공제율이 조금씩 낮아집니다.

 

만약 제가 연 600만원정도를 연금으로 받고 있다면, 

저의 연금소득공제액은 = 350 + (600-350) x 0.4 = 450만원 이죠.  

연금소득공제는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적용되는 건데요. 

따라서 1200만원 이내 분리과세일때는 적용 대상이 아니에요 ㅎㅎ 

 

[goldk2]

 

종합소득세는 여러가지 소득에 대해 합산되어 적용되기 때문에, 

연금소득만 있는 경우면 종합소득으로 하는 게 유리해요.

사실 저 연금공제액 말고 본인 기본공제액이 150만원이나 되니까요.

 

앞서 말한 경우를 보면 ,내 연금소득공제 450만원 + 기본공제 150만원 = 600만원이 모두 공제됩니다.

따라서 이 경우는 세금이 0이 되지요. 

그런데 연금은 1200만원 이내지만(월 100만원 이하) 다른소득이 있으면

다른 소득 금액에 따라서 뭐가 더 유리할 지 따져보고 결정하는 게 좋을 듯 싶습니다.

 

이상 연금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900만원 한도로 공제가 된다는 것~ 꼭 알아두세요

 

[goldk3]

 

 

반응형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 more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